행사명 |
참여기관 |
|
|
동북아시아 에너지 안보와 한반도: 동북아시아 에너지포럼을 위하여 (Energy, Regional Security, and the Korean Peninsula: Toward a Northeast Asian Energy Forum |
Univ. of Washington 의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cy |
|
|
|
|
북한의 최근변화와 유럽연합의 역할 (Recent Developments in North Korea and the Role of the European Union) |
한스자이델재단,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대학, 6자회담의 5개국 정부관리와 유럽 NGO 관리 및 외교관 |
|
|
|
|
동북아시아 에너지와 안보 (Energy, Regional Security, and the Korean Peninsula: Toward a Northeast Asian Energy Forum) |
에너지경제연구원, 청와대, IMMEMO에너지 연구센터, 중국에너지연구소, 일본에너지경제연구소, 북서태평양위원회 지구 안보센터, 워싱턴대학, 마사올코트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등 에너지안보 관련학자와 정부관리 |
|
|
|
|
통일, 평화, 그리고 실용주의: 이명박정부 대북정책의 비전과 쟁점 |
스탠퍼드대학, 게이오대학, 현대경제연구원, 세종연구소, 북한대학교대학원, 통일연구원, 북경대학,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전문가 |
|
|
|
|
한반도의 화해ㆍ협력 10년-평가와 전망 (Ten Years of Engagement Policy in the Korean Peninsula; Evaluation and Prospects for the Future) |
리츠메이칸대학의 코리아연구센터, 일본정부관료, SSRC북동아시아안전보장프로젝트 부장, 존스 홉킨스대학, 릿쿄대학, 호주국립대학 교수, 기자 |
|
|
|
|
KEDO의 교훈과 6자회담의 미래 (The Lessons of KEDO for the Future of the Six-Party Talks) |
에드워드 리드 아시아재단 한국 대표, UNHCR 한국대표, WEP서울사무소장,콜롬비아대학 웨더헤드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위원, 일본 내각 경제사회연구소 연구위원 및 국내외 학자·전문가 |
|
|
|
|
평화의 시각에서 다시 보는 남북관계 (Re-Examination of Inter-Korean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) |
UNHCR 한국사무소대표, Asia Foundation대표, 유진벨재단대표, 한스자이델재단 수석연구원, 북한인권센터 소장, 평화재단 이사장, 국제의료재단 이사장 및 국내외 학자 |
|
|
|
|
북한의 미래와 국제협력 (The Future of NorthKorea and Global Cooperation) |
주한캐나다, 호주, 영국, 이탈리아대사 및 정부기관 관계자,캐나다, 이탈리아, 독일, 한국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개방과 고립 사이에 선 북한의 경제와 정치 (North Korea's Economy and Politics between Opening and Isolation) |
독일, 미국, 한국 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North Korean Nuclear Politics: Constructing a New Notheast Asian Order in the Twenty-First Century |
미국, 한국, 중국, 일본, 캐나다 등 5개국 연구자 |
|
|
|
|
북한이탈주민: 보다 나은 건강을 향한 여정 (Refugees from North Korea: the Journey to Better Health) |
존스홉킨스, 연세대, 서울대연구자, 정부기관, NGO 활동가 및 대학원생 |
|
|
|
|
독일통일 20년과 한반도 통일 |
독일, 한국연구자 및 법조인, 언론인 및 대학원생 |
|
|
|
|
Europe-North Korea Between Humanitarianism and Business |
네덜란드, 독일, 벨기에, 한국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동북아다자협력포럼- 1차 서울회의 (International Workshop on Northeast Asia Community Building: In Search of A New Institutional Frame work) |
미국, 중국, 러시아, 일본, 한국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베를린 자유대 한국학연구소의 공동학술회의 |
서울대와 베를린 자유대학 내 한국학 및 통일연구자들 |
|
|
|
|
북한의 역량구축 국제학술회의 (Capacity-Building in North Korea) |
(전)독일통신부장관, 베를린자유대, 평양과기대, 한국대학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동아시아의 내부균열과 사회적 평화 (Internal Cleavages and Social Peace in East Asia) |
한국, 중국, 일본, 대만사회학자들 및 대학원생 |
|
|
|
|
U.S-DPRKE ducational Exchanges:Assessment and Future Strategy |
북한교육 사업협력단체 담당자, 북한교육연구자그룹, 북한전문가그룹등 |
|
|
|
|
동북아다자협력포럼-2차 베이징 회의 (International Workshop on Northeast Asia Community Building : In Search of A New Institutional Framework) |
중국, 일본, 한국, 미국, 러시아연구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동아시아의 평화와 21세기: 유산,과제,전망 |
일본, 중국, 한국학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Asia Pacific Forum |
미국, 한국, 중국, 러시아 정부관료 및 전문가 |
|
|
|
|
탈분단 · 통일 · 평화의 새로운 상상력 |
일본, 한국학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동아시아 지역질서 변화와 한반도 신평화구조의 모색 (Transformation of East Asia's Regional Order and Search for a New Peace Architecture) |
미국, 한국학자 및 대학원생 |
|
|
|
|
한반도 비평화 복합구성: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대화 (Configuration of Peacelessness on the Korea Peninsula) |
미국, 일본, 한국학자 및 대학원생 |
|
| |